PART 1. 간호업무 지침
1. 간호윤리 및 간호철학
1). 딜레마(안락사, 인공유산, 뇌사와 장기이식, 부족한 의료자원의 문제, 유전학과 관련된 윤리적 이슈, 행동조정과 관련된 이슈)에서 중요한 도덕적 문제는 무엇이며, 만약 윤리적인 딜레마에 본인이 처해 있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이며, 본인이 그렇게 행동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말씀해 보세요.
2). 임상학적 사망과 생물학적 사망의 차이는 무엇인가?
3). 장기이식(안구기증, 골수기증)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4). 간호윤리란?
5). 한국윤리강령, 간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씀해보세요.
6). 간호전문직이 타 전문직과 구별 될 수 있는 사항은?
7). 간호전문직의 성격 혹은 특성은?
8). 참간호, 전인간호에 대해 정의해 보세요.
9). 의사와 간호사의 관계, 질적 간호란 무엇입니까? 의사와의 관계에서 문제 발생시 어떻게 대처하겠습니까?
10). 실습시 role 모델로 삼고 싶은 간호사가 있었습니까? 있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11). 환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12). 자신이 본 best RN & worst RN에 대해 예를 들어 보시오.
13). 나이팅게일의 간호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4). Maslow의 욕구이론에 대해 말씀해 보세요.
2. 간호사고와 법
1). 법정의료인, 의료인이란 누구를 의미하는가?
2). 의무기록지 보관 연도는?
3). 의료법규 중 의료광고 허용범위는?
4).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해보시오.
5). 가정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말해 보시오.
6). 세균성 이질은 법정전염병 몇 군인가?

3. 안전관리
1). 온열오법 시 Hot Bag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2). Hot Bag에 물을 어느 정도 담아야 하는가?
3). 냉온요법이란
4). Hot Bag의 목적 3가지
5). Hot Bag 온도
6). Ice Bag
4. 간호기록
1). 간호기록지에 들어가야 할 사항에 대해 나열해 보시오.
2). SOAPIE 차팅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3). 간호기록지를 보관하는 목적 중 가장 중요한 이유는?
PART 2. 기본간호
1. 활력징후
1). 혈압을 측정했더니, 환자의 평소 수치보다 높게 나왔다. 이유를 추측하면?
2). 혈압을 다시 재려면 얼마 후에 다시 재야 하는가?
2. 열냉요법
1). 온열요법시 Hot Bag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2). 온열요법시 Hot Bag을 만들 때 적절한 온도는?
3). 치질 수술 후 좌욕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좌욕 하는 경우 적당한 온도는?
3. 배뇨관리
1). 유치 도뇨관 삽입시 ballooning은 몇 cc이며 삽입 길이는 몇 cm인가?
2). 단순 도뇨하는 이유와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어떤 환자들이며, 도뇨관 삽입시 사용하는 기구 set가 무슨 set인지 설명해 보세요.
3). 도뇨관의 종류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세요.
4. 배변관리
1). 직장관 삽입시 항문에 삽입되는 튜브의 길이는 몇 cm인가?
2). 관장의 목적과 종류에 대해 말해 보시오.
3). Enema 실시시 준비물품과 시행과정을 기술해 보세요.
5. 영양관리
1). 위관 삽입의 목적은?
2). 위관 삽입 후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말해 보시오.
6. 위생간호
1). 특별구강간호법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말해 보시오.
2). 욕창의 호발 부위와 단계, 예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7. 투약
1). 투약시 5R은?
2). 약물 투여시 3번 확인하는 단계는 언제인가?
3). 환자에게 투약시 정확하게 주기 위한 방법은?
4). 투약시 다시 확인해야 할 상황은 무엇인가?
5). 환자에게 투약시 정확하게 주기 위한 방법은?
6). 철분제제 경구투약 혹은 근육주사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7). 근육주사해서는 안 되는 환자, 근육주사의 합병증은 무엇인가?
8). RI와 NPH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9). RI와 NPH의 full term은?
10). 속효성 인슐린 RI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11). 인슐린 투여부위로 가장 흡수가 잘 되는 곳은 어디이며, 이유는 무엇인가?
12). 피내주사 준비물품은 무엇인가?
13). 24시간 동안 1000cc의 수액을 주려 한다. gtt/min과 drop 수는?
8. 수혈
1). 수혈의 종류와 목적(적응증)에 대해 마해 보시오.
2). 수혈시 5% 포도당을 주지 않는 이유는?
3). 수혈 전 체크해야 할 사항, 수혈 중 간호중재, 부작용에 대해 말해 보시오.
9. 감염관리
1). 역격리란?
2). 감염경로, 소독과 멸균의 차이는?
3). 내과적, 외과적 손씻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3. 분야별 간호중재
1. 성인간호학
1). 혼미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2). GCS 사정방법과 자극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3). Pupil reflex를 담당하는 신경은 어느 신경인가?
4). ICP 상승 환자의 간호 중재에 대해 말해 보세요.
5). ICP 상승 환자 간호시 피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6). 유두부종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7). ICP 3대 증후는?
8) 쿠싱 반사란 어떤 것인가?
9) ICP 정상치와 full term은?
10). Paraplegia와 Hemiplegia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11). 파킨슨씨병에서 L-dopa와 관련 되어 환자에게 설명해야 할 사항은?
12). 중증근무력증 환자 간호시 보호자에게 강조해야 할 사항은?
13). 호흡기 물리요법 중 타진법과 진동법을 직접 시행해 보세요.
14). 흡인간호 목적, 필요물품, 방법에 대해 말해 보시오.
15). 흉관 삽입환자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16). 흉관배액관을 가지고 있는 환자간호시 특별히 관찰해야 할 사항에 대해 말해 보시오.
17). 흉곽천자 시술 전후 체위와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18). 산소 주입 전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19). ABGA full term, 정상수치에 대해 말해 보시오.
20). 분비물 증가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의 진단에 대해 해 줄 수 있는 간호를 말해 보시오.
21). 객혈과 토혈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22). 천식 환자에 있어 주호소에 대해 말해 보시오.
23). 급성 천식 환자의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24). 흉곽 수술한 환자에 있어서 morphine을 투여하지 않는 이유는?
25). 폐부종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말해 보시오.
26). B.C.G 접종 시기는 언제인가?
27). 기관절개 환자의 간호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28). 비말감염을 통해 전염되는 법정전염병에 대해 설명하시오.
29). 심장의 기본해부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30). CVP를 측정하는 이유를 이야기해 보세요.
31). CVP 정상 수치는?
32). CVP가 상승했다면 어떤 의미인가?
33). 심전도의 기본적인 파형의 의미와 심부정맥의 종류 & wave 형태를 설명하고 관련된 질병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34). 심근경색증과 협심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35). 심근경색 환자의 쇼크 증상에 대해 말해 보시오.
36).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혈관은 무엇인가?
37). 심근경색시 올라가는 효소는?
38). 심한 흉통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emergency care는 무엇인가?
39). 심근경색시 투여하는 약물에 대해 설명하시오.
40). Morphine 투여시 주의점은?
41). Digoxin 주사시 합병증은 무엇인가?
42). PVC 발생시 주사하는 약물은?
43). 협심증 환자가 흉통을 호소할 때 투여하는 약물과 그 약물은 최대 몇 번까지 투여가능한지, 몇 분 간격으로 투여하는지 설명해 보세요.
44). 심부전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과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45). 위절제술 후의 합병증은 무엇인가?
46). 위절제술 환자의 식이, 위절제술을 한 사람에게 가장 우선시 되는 간호는?
47). Dumping syndrome이란?
48). Upper GI bleeding과 Low GI bleeding의 차이에 대해 말해 보시오.
49). 위내시경 후 식사를 주는 시기는?
50). 간염 환자의 식이에 대해 말해 보시오.
51). LC의 합병증은 무엇인가?
52). LC의 증상은?
53). LC환자에게 증상완화를 위해 관장을 해 주는데 무슨 이유인가?
54). 복수의 원인은?
55). B형 간염의 경로와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56). 췌장염 환자의 위관튜브 삽입 이유는?
57). 담석수술 후 환자의 식이는?
58). 궤양성 대장염이란?
59). 만성 변비 환자에게 해 주어야 할 간호는?
60). Colostomy 환자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특히 세척과 drain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61). 장염 환자를 위한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에 대한 간호계획은?
62). 저혈당의 증세에 대해 말해 보시오.
63). 갑자기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때의 응급처치는?
64). 당뇨의 3대 증상은?
65). 저혈당 증상과 저혈당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66). 당뇨병 환자 발간호는?
67). 췌장암의 주된 원인, 췌장암 진단시 올라가는 검사수치는?
68). 쿠싱증후군의 증상과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69). 견인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시오.
70). 척추손상 환자의 증상과 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71). 관절염 환자의 식이, 다이어트가 필요한 이유는?
72). 골다공증 환자의 간호
73). 통풍환자의 간호
74). SLE 환자 간호시 주의점(자세히)은 무엇인가?
75). 성인의 조혈을 담당하는 곳은?
76). 백혈병 환자 간호시 가장 중요하고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77). Homan’s sign은 무엇인가?
78). 신장의 기능을 이야기 해보시오.
79). CRF의 full term
80). 혈액 투석시 동정맥루에 쓰이는 혈관
81). 신부전 증상과 간호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82). 임종의 5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83). 유방절제술 환자간호에 대해 설명하시오.
84). 항암요법 환자의 식이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85). 백내장 환자의 간호에 대해 말해 보시오.
86). 화상환자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설명해 보시오.
87). 녹내장 환자의 처음 지각 현상은?
88). 급성 편도선염 환자의 간호중재와 편도선 적출술의 금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89).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는?
'재무팀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 명언 (1) | 2020.09.17 |
---|---|
재무팀 면접시 보는 스펙 외 사항 (3) | 2020.09.07 |
고려대 간호사 면접질문 모음 (0) | 2020.08.06 |
현대 정주영 회장 명언 모음 (1) | 2020.07.09 |
현대카드 정태영 사장의 답장 (0) | 2020.07.09 |
댓글